이진 데이터 형식

이진 데이터 형식

  • 데이터를 텍스트 문자 가 아닌 0과 1(이진수, Binary)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

  •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 기반 프로토콜이 아니라,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이진 데이터 를 사용한다는 것임.


HTTP/1.1 (텍스트 기반) vs HTTP/2.0 (이진 데이터)

HTTP/1.1 (텍스트 기반)

  • HTTP 요청과 응답이 문자로 구성 되어 있음.

  • 사람이 직접 읽을 수 있는 텍스트(Text) 형식으로 데이터 전송

  • 예시:

GET /index.html HTTP/1.1
Host: www.example.com
User-Agent: Mozilla/5.0
Accept: text/html

사람이 보면 이해할 수 있는 단순한 텍스트 형식

HTTP/2.0 (이진 기반)

  • 텍스트 대신 바이너리(Binary) 형식 으로 데이터를 전송

  • 요청과 응답을 프레임(Frame) 단위로 나누고,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여 압축

  • 예시:

    • 00000001 10101010 11100011 00001010 ...

    •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0과 1의 이진수 형태로 변환 되어 전송됨.


왜 HTTP/2.0 은 이걸 사용?

이진 데이터 형식의 장점

  • 더 빠름 -> 텍스트 보다 처리 속도가 빠름 (파싱 불필요)

  • 네트워크 효율 증가 -> 필요 없는 공백 & 줄바꿈 제거됨.

  • 헤더 압축 가능 -> HPACK 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크기 감소

  • 멀티 플렉싱 지원 -> 여러 요청을 동시에 보낼 수 있음.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